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수도권주택공급
- 티몬삼겹살데이
- 순남시래기 #교대맛집 #교대역맛집 #한식맛집 #시래기국 #서울맛집 #가성비맛집 #건강한식단 #셀프반찬 #직장인맛집
- QTcpServer
- QT TCP
- 엑스퍼트생일축하해
- 엑스퍼트2주년
- FILE TRANSFER
- lua install
- lua interpreter
- 편편집 #강남역맛집 #강남샤브샤브 #강남무한리필 #편백찜맛집 #월남쌈맛집 #샤브샤브맛집 #가성비맛집 #강남회식 #강남데이트
- #부동산전자거래 #부동산전자계약 #부동산계약 #부동산전자계약방법 #부동산전자계약하는법 #부동산계약방법 #부동산중개수수료 #부동산중개수수료아끼기 #부동산복비아끼기
- Lua
- 등록임대주택
- file read
- object
- 전동포 #송파구전기자전거 #전동킥보드수리 #모토벨로대리점 #전기자전거판매 #전동스쿠터수리 #배터리수리 #전기자전거수리 #송파구전동킥보드 #전동이동수단
- 육전국밥 #강남역맛집 #24시간맛집 #소고기국밥 #육전 #모둠전 #해물파전 #강남한식 #혼밥맛집 #강남역국밥
- lua for windows
- 국토교통부
- 찾다죽는줄
- lua setup
- 중소규모택지
- C++ API
- C API
- file write
- 월세
- TCP/IP
- #신혼부부 #결혼준비 #신혼부부희망타운신혼부부특별공급
- meta table
- Today
- Total
Value Creator의 IT(프로그래밍 / 전자제품)
Chapter 2 소켓 타입과 프로토콜 설정 본문
tcp_server.c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#include <string.h>
#include <unistd.h>
#include <arpa/inet.h>
#include <sys/types.h>
#include <sys/socket.h>
void error_handling(char *message);
int main(int argc, char *argv[])
{
int serv_sock;
int clnt_sock;
struct sockaddr_in serv_addr; //서버의 소켓 구조체 생성
struct sockaddr_in clnt_addr; //클라이언트의 소켓 구조체 생성
socklen_t clnt_addr_size; //클라이언트 주소의 소켓 길이
char message[]="Hello World!";
if(argc!=2){
printf("Usage : %s <port>\n", argv[0]);
exit(1);
}
serv_sock=socket(PF_INET, SOCK_STREAM, 0); //tcp 타입의 소켓 생성
if(serv_sock == -1) //소켓 에러시 에러처리
error_handling("socket() error");
memset(&serv_addr, 0, sizeof(serv_addr)); //서버 구조체의 메모리 할당
serv_addr.sin_family=AF_INET; //IPv4 사용
serv_addr.sin_addr.s_addr=htonl(INADDR_ANY); //?
serv_addr.sin_port=htons(atoi(argv[1])); //?
if(bind(serv_sock, (struct sockaddr*) &serv_addr, sizeof(serv_addr))==-1)
error_handling("bind() error"); //바인드 오류처리
if(listen(serv_sock, 5)==-1) //5초..?
error_handling("listen() error");
clnt_addr_size=sizeof(clnt_addr);
clnt_sock=accept(serv_sock, (struct sockaddr*)&clnt_addr,&clnt_addr_size);
if(clnt_sock==-1) //accept 오류처리
error_handling("accept() error");
write(clnt_sock, message, sizeof(message)); //클라이언트에 'message' 쓰기
close(clnt_sock); //클라이언트 닫기
close(serv_sock); //서버 닫기
return 0;
}
void error_handling(char *message)
{
fputs(message, stderr);
fputc('\n', stderr);
exit(1);
}
tcp_client.c
#include <stdio.h>
#include <stdlib.h>
#include <string.h>
#include <unistd.h>
#include <arpa/inet.h>
#include <sys/types.h>
#include <sys/socket.h>
void error_handling(char *message);
int main(int argc, char* argv[])
{
int sock;
struct sockaddr_in serv_addr; //서버 주소 소켓 생성
char message[30]; //30의 크기를 갖는 문자열 생성
int str_len=0;
int idx=0, read_len=0;
if(argc!=3){
printf("Usage : %s <IP> <port>\n", argv[0]);
exit(1);
}
sock=socket(PF_INET, SOCK_STREAM, 0);
if(sock == -1)
error_handling("socket() error");
memset(&serv_addr, 0, sizeof(serv_addr));
serv_addr.sin_family=AF_INET;
serv_addr.sin_addr.s_addr=inet_addr(argv[1]); //입력받는 첫번째 값을 IP주소에 넣기
serv_addr.sin_port=htons(atoi(argv[2])); //입력받는 두번째 값을 Port 번호에 넣기
if(connect(sock, (struct sockaddr*)&serv_addr, sizeof(serv_addr))==-1)
error_handling("connect() error!"); //클라이언트->서버 연결 시도
while(read_len=read(sock, &message[idx++], 1)) //메세지의 끝 부분을 만날때까지 메세지 읽기
{
if(read_len==-1)
error_handling("read() error!");
str_len+=read_len;
}
printf("Message from server: %s \n", message); //서버->클라이언트 메세지 표시
printf("Function read call count: %d \n", str_len); //읽은 횟수 표시
close(sock); //클라이언트 소켓 닫기
return 0;
}
void error_handling(char *message)
{
fputs(message, stderr);
fputc('\n', stderr);
exit(1);
}
터미널에서 명령어
[서버 쪽]
해당 폴더로 이동 후
gcc tcp_server.c -o hserver
./hserver 9190
포트 번호만 넣어주면 localhost(127.0.0.1) 기반, 포트번호 9190 서버를 연다.
(Chapter 1 참조)
2019/10/28 - [1. 프로그래밍/4) Network] - Chapter 1 서버-클라이언트 소스코드 분석
[클라이언트 쪽]
gcc tcp_client.c -o hclient
./hclient 127.0.0.1 9190
클라이언트가 IP 127.0.0.1, Port 9190 서버에 접속을 시도한 후 메세지와 읽은 메세지 개수를 출력한다.
[참고]
경로는 임의의 경로이므로 컴퓨터마다 다를 수 있다
a@a:~/Desktop/NP/manual/TCPIP_Src/Chapter2$ gcc tcp_server.c -o hserver
a@a:~/Desktop/NP/manual/TCPIP_Src/Chapter2$ ./hserver 9190
a@a:~/Desktop/NP/manual/TCPIP_Src/Chapter2$
a@a:~/Desktop/NP/manual/TCPIP_Src/Chapter2$ gcc tcp_client.c -o hclient
a@a:~/Desktop/NP/manual/TCPIP_Src/Chapter2$ ./hclient 127.0.0.1 9190
Message from server: Hello World!
Function read call count: 13
'1. 프로그래밍 > 5)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뮤텍스와 세마포어 mutex semaphore (0) | 2019.12.04 |
---|---|
구조체 멤버의 메모리 할당과 #pragma pack(1) (0) | 2019.12.04 |
argc, argv의 뜻은? (0) | 2019.10.28 |
#7 [C++] 동적 메모리 할당 및 반환 (0) | 2019.08.02 |
#6 [C++] 예제 : RAM 구현해보기 (0) | 2019.07.26 |